메르스 방역망 밖 환자 속출, '확산 vs 진정' 갈림길
페이지 정보
권병찬 작성일15-06-24 18:27 조회1,529회 댓글0건본문
메르스 방역망 밖 환자 속출, '확산 vs 진정' 갈림길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방역당국의 방역망 바깥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때 메르스 사태가 진정세에 돌입했다고 판단하던 당국이 판단을 유보하고 지역사회 확산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24일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가 발표한 신규 메르스 환자는 4명으로 이달 초순과 비교하면 환자 발생 규모가 크게 줄었다. 그러나 발표된 확진 환자 중 2명이 당국의 관리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점이 큰 차이점으로 꼽힌다.
176번 환자는 76번 환자와 같은 시기에 이달 6일 건국대학교병원에 입원해 있다가 메르스 바이러스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국은 이미 76번 환자와 관련된 감염 위험자들을 관리하고 있었지만 176번 환자는 관리 대상에서 누락돼 있었다. 대책본부는 "76번 환자가 당시 건국대병원에 머문 시간이 짧아 노출 가능 범위를 좁게 설정했는데, 오늘 확진된 176번 환자는 그 범위 바깥에 있던 환자라서 관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누락 경위를 해명했다. 대책본부는 이날 뒤늦게 건국대 병원의 신규 외래·입원을 중단하고 부분 폐쇄했다.
178번(29) 환자 역시 당국의 관리에서 벗어나 있었다. 평택성모병원, 평택 박애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이지만, 대책본부는 178번 환자를 관리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대책본부는 "지금은 병원 환자와 가족은 물론 방문자까지 광범위하게 관리 대상에 포함하지만 당시 메르스 역학조사 초기에는 그렇지 않았다"며 이 환자의 누락 경위를 설명했다. 16일 증상이 발현한 이 환자는 21일까지 지역사회를 활보했다. 방역당국은 뒤늦게 이 환자의 존재를 파악하고, 환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자가 격리조치했다.
방역망 바깥에서 환자가 발생한 건 이날이 처음이 아니다. 전날 확진 판정을 받은 173번 환자는 5일 76번(75) 환자와 같은 시기에 강동경희대병원 응급실을 방문했지만, 관리 대상에서 누락돼 있었다. 장애인이나 노인의 거동을 돕는 '활동보조인'인 이 환자는 당시 강동경희대병원 방문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돼 있지 않았다. 당시 함께 병원을 방문한 환자는 이 환자가 동행했다는 사실을 방역 당국에 알리지 않았다. "늘 건강한 사람이라 괜찮을 줄 알았다"는 것이 이유였다.
그러나 173번 환자는 메르스에 감염된 상태에서 방역 당국의 관리를 받지 않은 채 병원 4곳과 약국·한의원까지 다녔다. 이 환자는 격리되지 않은 채 강동성심병원 정형외과 병동에 누워 있다 확진 판정을 받았다. 공기 전파 가능성이 있는 기도 삽관 등 의료 시술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방역 당국은 뒤늦게 강동성심병원을 부분 폐쇄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관리망 바깥에서 환자가 발생하는 현상이 위험한 이유는 지역사회 전파 우려 때문이다.
현재 방역은 환자를 음압병실에 격리하고,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했거나 접촉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을 자가격리 등으로 사회에서 분리하는 방식으로 병원균의 전파를 막는다. 그러나 당국의 감시망이 충분히 펼쳐지지 않은 사이, 환자나 밀접접촉자가 지역사회에서 활보하게 되면 '감염경로를 추적할 수 없는' 지역사회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감염 경로를 추적할 수 없게 되면 방역망이 힘을 잃는다.
따라서 방역망 바깥에서 환자가 발생하면, 그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 수백 명을 한꺼번에 관리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 지난 17일 격리대상자가 6천729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내림세를 보이다가 이날 298명 증가한 것도 관리망 바깥에서 환자 발생이 잇따른 것과 무관치 않다. 추가 환자가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던 지난 주말 메르스 사태가 '진정세'를 탔다고 진단했던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의 권덕철 총괄반장은 "강동성심병원, 강동경희대병원, 구리 카이저재활병원 등 적극적인 상황 관리를 하고 있다"며 상황 판단을 유보했다. 그는 "많은 의료기관이 노출된 상황이라 추가적인 확산이 되느냐 안 되느냐 하는 큰 갈림길에 섰다"고 의견을 밝혔다.
삼성서울 부분폐쇄 연장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대규모로 발생한 삼성서울병원의 부분폐쇄가 종료 기한없이 계속된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24일 이날까지로 예정됐던 삼성서울병원의 부분폐쇄 기간을 종료시점을 정하지 않고 더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권덕철 대책본부 총괄반장은 "민간과 정부의 전문가로 구성된 삼성서울병원 즉각대응팀(팀장 송영구 연세대의대 교수)이 이날 삼성서울병원의 부분폐쇄를 연장하기로 결정을 내렸고, 병원 측이 이 결정을 수용했다"며 "부분폐쇄를 언제까지 연장할지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즉각대응팀이 확진환자의 증상발현시기, 확진 시기, 노출 정도 등을 토대로 위험도를 다시 평가해 언제까지 부분폐쇄를 할지 추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방역당국과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13일 밤 이 병원의 외래 및 입원, 응급실 진료를 전면 제한하고 수술 역시 응급 상황을 제외하고는 모두 중단하는 내용의 부분폐쇄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슈퍼전파자(super spreader)인 14번 환자를 통한 감염 환자가 급증한데다 이 병원 이송요원인 137번 환자(55)가 증상 발현 후 이 병원에서 9일간 근무한 사실이 드러난 데 따른 조치다.
방역당국 등은 이에 따라 137번 환자에 의한 메르스 바이러스 전파 최장잠복기인 24일까지 병원을 부분폐쇄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메르스 확산세가 비교적 진정된 최근 들어서도 추가 환자 발생이 끊이지 않자 부분폐쇄 기간을 더 늦추기로 최종 결정했다. 병원 측은 부분폐쇄 마지막날을 하루 앞둔 23일 예약된 진료 날짜가 임박한 일부 환자들에게 예약 시점을 다음주 2번째 주 이후로 미뤄서 다시 잡자는 전화 연락을 하기도 했다.
확진일 기준으로 이 병원에서 감염된 메르스 환자는 12일 7명, 13일 4명, 14일 1명, 15일 3명, 16일 5명, 17일 1명, 18일 1명, 20일 1명, 21일 1명, 22일 1명, 23일 1명 등으로, 19일을 제외하고는 하루도 빠짐없이 환자가 나왔다. 이 중에서는 의료진이나 감염 경로가 불명확한 환자도 적지 않다. 162번 환자(확진자 치료를 맡던 방사선사), 164번 환자(간호사), 169번 환자(의사) 등은 확진 환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이다. 174번 환자(75)의 경우 삼성서울병원에 환자로 내원한 날짜가 지난 4일, 8일, 9일로 137번 환자의 병원 근무 시점과 겹치지만 다른 확진 환자와의 접촉 가능성도 있다. 166번 환자(62)는 삼성서울병원의 암병동을 방문했지만 어디서 누구와 접촉해 감염됐는지 모호하다.
최혜빈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