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진주산 사슴, '광록병' 발생-녹용섭취 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권병찬 작성일 16-02-24 20:45

본문

진주산 사슴, '광록병' 발생-녹용섭취 주의

사슴 광우병으로 불리는 '광록병'이 국내에서 발생하자 대한한의사협회가 국내산 녹용(사슴뿔)의 섭취를 자제하라고 권고하고 나섰다. 대한한의사협회는 24일 "건조하지 않은 국내산 사슴뿔(생녹용)은 광록병뿐 아니라 기생충 등 각종 감염 위험성이 있으므로 복용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며 "당분간 국내산 사슴뿔, 특히 생녹용을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광록병은 광우병과 마찬가지로 '변형 프리온 단백질'이 일으키는 사슴의 신경성 질환이다. 

dfg1.jpg

검역 당국은 경남 진주시의 한 농장의 사슴 10마리에서 광록병 양성 판정이 나오자 해당 사슴을 살처분 후 땅에 묻었다. 예방 차원에서는 함양군 농장의 사육 사슴 등 총 100여마리를 매몰 처리했다. 국내에서 광록병이 발생한 것은 2010년 이후 약 6년 만이다. 국내에서는 2001년에 광록병이 처음 보고됐다. 협회는 "한국은 광록병으로부터 안전한 나라가 아니다"라며 "국내산 사슴뿔을 식품으로 복용하려면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협회는 "국내 한의원 등 의료기관에서는 뉴질랜드, 러시아 등 광록병 청정국가에서 의약품용 녹용을 건조한 채로 수입하고, 각종 안전성 검사를 거쳐 통과한 제품만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국내산 사슴은 흔히 떠올리는 토종 꽃사슴이 아닌 북미산 사슴(엘크)이며, 북미산 사슴뿔 역시 광록병 위험이 있어 의약품으로는 수입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토종 꽃사슴은 1940년대에 멸종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사회팀

주요사건

주요사건
  • 무속인 ‘비단아씨’, 국회 청문회 증언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세간에 늘 떠도는 무속인과 정치인 또는 권력 실세와의 관계 또는 출세를 탐하는 이들과의 관계는 올바른 세상을 잘못되게 만드는 밑그림이 되는 것을 종종 느낄 …

  • 전북도교육청,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91명 선발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30일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91명을 선발, 14개 시군 교육지원청에 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를 위해서 전북도교육청은 올…

  • 尹 탄핵 반대 집회 참석한 男, 분신 시도 중태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경찰에 따르면 지난 15일 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던 날,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부근에서 A씨(남/59)가 분신을 시도해 3도 화…

  • 年初 화재 주의, 서울 청계공구상가 야간 피해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설 연휴가 끝나고 새해 업무가 한창인 연초부터 곳곳에서 화재가 발생해 시민 재산에 큰 손실이 발생하고 정서적으로 불안을 초래하고 있다.5일 오전(새벽)에도 …

사건사고

Total 1,098건 63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