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위성곤 의원, “감귤 종자 자급률, 해마다 꼴찌... 품종개발 서둘러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양동주기자 작성일 20-10-11 11:02

본문

위성곤 의원, “감귤 종자 자급률해마다 꼴찌... 품종개발 서둘러야

 d1acef62a9c5f52268053b154fe64e8c_1602381756_5099.jpg

감귤, 2014년 이후 품목별 종자자급률 최하위... 1.0%에서 2.5%로 1.5%p상승에 그쳐

농촌진흥청신품종 개발위해 매년 220억 이상 투입하고 있으나 전체 보급률 50% 미만

위성곤 의원, “제주감귤은 재배중인 품종의 90% 이상이 일본품종으로서 이를 대체할 우량품종 개발과 함께 속도감 있는 현장보급이 급선무

종자산업 육성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에도 불구하고 감귤의 종자자급률은 2.5%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 서귀포)이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으로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감귤종자 자급률은 2014년 1.0%, 2015년 1.8%, 2016년 2.0%, 2017년 2.2%, 2018년 2.3%, 2019년 2.5% 2014년에 비해 단 1.5%p 성장하는데 그쳤다이는 농진청이 조사하는 다른 작물의 자급률에 비해 월등히 떨어지는 수치로 자급률 조사 품목 중 가장 낮다.

농진청은 종자산업 육성차원에서 추진하는 골든시드프로젝트(2011년 이후 4,911억원 투자) 도로 2014년 이후 신품종 개발을 위해 해마다 220억 이상을 쏟아 붇고 있다이를 통해 지난 5년간 농진청에서 84작목에서 392종의 신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개발된 신품종의 전체 보급률은 50% 미만에 그쳤으며그중에서도 과수와 화훼의 경우 보급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위성곤 의원은 종자강국 실현을 구호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더디게 나타나고 있기에 더욱 분발해야 한다.”고 하면서 특히 제주감귤의 경우 현재 재배중인 품종의 90% 이상이 일본품종으로서 이를 대체할 우량품종 개발과 함께 속도감 있는 현장보급이 급선무임에도 이에 대한 위기의식이 없는 것 같아 아쉽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해마다 주요 작물에 대한 로얄티로 100억원 이상을 지출하고 있는 현실이다.” 면서 “2년전 제주농가에 들이닥쳤던 아스미사태의 악몽은 언제든지 다시 재현될 수 있기에 세계종자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2018년 초 일본 국립연구개발법인이 국립종자원에 아스미와 미하야품종에 대한 품종보호를 출원함으로써 제주도내300여 농가가 생산한 900여톤의 감귤을 출하하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UPOV(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협약에 따른 품종보호제도란 식물신품종 육성자의 권리를 법정으로 보장해 주는 지적재산권의 형태이다이에 근거하여 품종보호권자는 농가가 수확한 열매에 대하여 배타적 권리를 주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로얄티라고 부르는 품종사용료를 청구할 수 있다.

주요사건

주요사건

특별취재

Total 1,452건 24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
  • ‘압구정 롤스로이스 도주사건’ 가해자·의사 중형 선고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4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6부(재판장 최민혜)에 따르면 일명 ‘압구정 롤스로이스 도주 사고’로 불리는 신 모씨 뺑소니 사건에 대한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도주치…

  • 北, 오물 풍선 260여개 살포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29일 합동참모부에 따르면 북한이 풍선에 오물, 쓰레기 등을 담아 대한민국을 향해 살포한 것으로 발표됐다.며칠 전 북한은 국내 대북 단체들이 대북 전단 살포와 …

  • 北 해커조직 ‘라자루스’ 법원 기록 등 2년간 해킹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2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와 국가정보원, 검찰청에 따르면 북한 해커 조직 라자루스가 우리 법원 재판 기록 등을 해킹했다.북한 해커 조직은 지난 2021년 1…

  • 집단행동 전공의 대다수, 행정·사법 처벌 임박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4일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의대증원에 반대해 근무지를 이탈해 거리로 나선 전공의들에게 예고한 강력한 조치로 행정·사법 처벌이 임박했다.지난해 4월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