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무상보육, 어떻게 달라지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최혜빈 작성일 15-09-12 12:56

본문

무상보육, 어떻게 달라지나?

전업주부, 어린이집 반나절 못 보내는 정책으로

내년 7월부터 0~2세 영아의 어린이집 이용 방식이 학부모의 여건에 따라 ‘맞춤형’으로 바뀐다. 맞벌이 자녀의 보육료 지원금은 올라가고 전업주부는 어린이집 하루 이용 시간이 약 7시간으로 줄어든다. 새정치민주연합 남인순 의원은 11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 자료에서 맞춤형 보육 시행 계획을 공개했다. 복지부는 이 계획을 내년 예산에 반영했다. 국회 심의를 거쳐 내년 초 영·유아보육법 시행령을 개정할 예정이다. 내년 7월 시행되면 0~2세 무상보육 도입 이후 3년4개월 만에 제도가 변경된다. 이번 개편에 3~5세 유아는 해당하지 않는다.
현재 0~2세의 모든 아동은 하루 최대 12시간(종일반)까지 무상으로 어린이집을 이용하지만 앞으로 전업주부의 자녀는 하루 7시간 가량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복지부는 적게는 6시간, 많게는 8시간을 놓고 기준선을 검토 중인데 ‘하루 6시간+월 15시간 추가’ 방안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를 초과하면 별도 비용을 내야 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미취업 여성(전업주부)의 아이가 오전 9~10시부터 오후 3~4시까지 평균 6시간56분 이용하는 점을 감안하면 맞춤형으로 바뀌어도 제약을 받는 경우가 얼마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절감되는 400억원을 보육교사 처우개선과 종일반 보육단가 인상 등의 질 개선에 투자키로 했다. 맞춤형으로 바뀌어도 ▶구직 활동 중인 사람 ▶한부모 가정 ▶장애인 ▶임신부 ▶다자녀 가정의 자녀는 지금처럼 종일반을 이용할 수 있다. 정부는 취업한 것으로 속이는 ‘가짜 맞벌이’를 철저히 가려낼 계획이다. 현재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0∼2세의 전업주부 자녀는 약 15만 명이다.

jfe.jpg 
서영숙 숙명여대 아동복지학과 교수는 “세계 어디에서도 0~5세 무상보육을 하지 않는다. 정부의 방향이 옳지만 ‘복지 축소’라는 주장이 나올 수 있어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춘자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가정분과위원장은 “전업주부 자녀가 ‘맞춤형’으로 이용하면 보육지원금이 줄어 어린이집 운영이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최혜빈 기자




주요사건

주요사건

시사종합

Total 5,071건 412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
  • ‘압구정 롤스로이스 도주사건’ 가해자·의사 중형 선고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4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6부(재판장 최민혜)에 따르면 일명 ‘압구정 롤스로이스 도주 사고’로 불리는 신 모씨 뺑소니 사건에 대한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도주치…

  • 北, 오물 풍선 260여개 살포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29일 합동참모부에 따르면 북한이 풍선에 오물, 쓰레기 등을 담아 대한민국을 향해 살포한 것으로 발표됐다.며칠 전 북한은 국내 대북 단체들이 대북 전단 살포와 …

  • 北 해커조직 ‘라자루스’ 법원 기록 등 2년간 해킹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2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와 국가정보원, 검찰청에 따르면 북한 해커 조직 라자루스가 우리 법원 재판 기록 등을 해킹했다.북한 해커 조직은 지난 2021년 1…

  • 집단행동 전공의 대다수, 행정·사법 처벌 임박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4일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의대증원에 반대해 근무지를 이탈해 거리로 나선 전공의들에게 예고한 강력한 조치로 행정·사법 처벌이 임박했다.지난해 4월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