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일본산 소재, 자동차 수입액 급감... 日 수출규제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편집국 작성일 19-08-13 21:57

본문

일본산 소재, 자동차 수입액 급감... 日 수출규제 영향

- 정밀화학원료 대일 수입액 전년동기대비 18.1% ↓, -

- 불매운동 여파로 자동차 수입액도 25.5% ↓ -

- 우원식 의원 “日, 韓의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경제보복이 아니라면, 부당한 규제 해제하고 교역 정상화해야” -


715cf595de5e1cd18d166f3a1be3171b_1565701063_7447.jpg
 


일본 수출규제 여파로 지난달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등에 투입되는 정밀화학원료의 대일 수입액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원식 의원(더불어민주당,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위원회)이 기관으로부터 받은 ‘7월 수출입동향 관련 일본산 수입 증감 현황’을 보면 지난달 1~25일 정밀화학원료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1% 감소한 1억1200만달러(약 1361억원)를 기록했다.


정밀화학원료에는 일본이 수출규제에 돌입한 3가지 품목이 포함된다. 앞서 일본은 지난달 4일부터 한국으로 수출하는 포토레지스트(감광제),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3개 소재에 대한 수출규제를 강화했다.


일본은 이달 8일이 돼서야 “군사전용 우려가 없다”면서 삼성전자를 상대로 포토레지스트 수출을 허가했다. 그러나 고순도 불화수소와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 대한 수출 허가는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다. 이 뿐만이 아니다.


국내에서 일고 있는 일본산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 여파로 자동차 수입액도 크게 감소했다. 대일 자동차 수입액은 6300만달러(약 765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25.5% 감소했다.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불매 운동이 수입 감소로 이어진 것이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일본차 브랜드의 점유율은 13.7%를 차지했는데, 이는 전월 대비 6.7%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일본이 지난 2일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절차 우대국 명단)에서 배제하면서 한때 추가 수출규제 품목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던 석유화학 제품 수입액도 전년 동기 대비 6.9% 감소한 4800만달러(약 583억원)를 기록했다.


그밖에 전년 동기 대비 대일 수입액이 급감한 선박(-67.0%)이나 무선통신기기(-25.7%), 가전(-20.0%)의 경우에는 글로벌 경기 악화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들 품목에 대해 본 의원실에 “무선통신기기의 경우 스마트폰 교체주기가 길어지면서 제품 수요가 줄어든 탓이 크고, 선박의 경우 일시적인 교역 감소 현상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원식 의원은 “일본 수출규제 여파로 양국간 교역이 줄어들면서 한·일 양국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면서 “일본 정부는 역사 문제와 관련한 경제보복을 즉각 중단하고 양국무역 관계를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

주요사건

주요사건

국회소식

Total 6,535건 409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
  • ‘압구정 롤스로이스 도주사건’ 가해자·의사 중형 선고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4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6부(재판장 최민혜)에 따르면 일명 ‘압구정 롤스로이스 도주 사고’로 불리는 신 모씨 뺑소니 사건에 대한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도주치…

  • 北, 오물 풍선 260여개 살포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29일 합동참모부에 따르면 북한이 풍선에 오물, 쓰레기 등을 담아 대한민국을 향해 살포한 것으로 발표됐다.며칠 전 북한은 국내 대북 단체들이 대북 전단 살포와 …

  • 北 해커조직 ‘라자루스’ 법원 기록 등 2년간 해킹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2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와 국가정보원, 검찰청에 따르면 북한 해커 조직 라자루스가 우리 법원 재판 기록 등을 해킹했다.북한 해커 조직은 지난 2021년 1…

  • 집단행동 전공의 대다수, 행정·사법 처벌 임박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4일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의대증원에 반대해 근무지를 이탈해 거리로 나선 전공의들에게 예고한 강력한 조치로 행정·사법 처벌이 임박했다.지난해 4월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