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드보복,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2>
페이지 정보
작성자편집국 작성일 17-03-03 11:36본문
중국의 사드보복,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2>
한국 관광 전면금지
더하여 2일 중국 정부가 자국민에 대한 한국 관광상품 판매를 전면 금지했다. 현지 여행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여유국은 이날 베이징 내 대형 여행사를 소집한 회의를 열어 한국행 여행상품에 대한 전면적인 판매 중단을 구두로 지시했다. 회의에는 국내 여행사 하나투어 관계자도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한국행 단체관광은 물론 자유여행이더라도 여행사를 통한 예약은 전면 금지된다. 이미 계약된 관광상품은 이달 중순까지 모두 소진하도록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한국 관광상품 판매금지는 베이징을 시작으로 지역별 회의를 통해 전국으로 확대될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중국인들의 한국 관광은 개인이 스스로 항공사를 통해 티켓을 구매하는 방법만이 유일해진다. 하지만 반한(反韓) 기류에 대한 부담으로 개인들의 자유여행 역시 위축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무엇보다 국내 여행업계와 유통업체, 면세점, 호텔, 요식업체, 화장품 등 국내 관련 산업이 광범위하고 강력한 타격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이처럼 특정 국가에 대한 관광을 전면 금지한 것은 2011년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 영유권을 둘러싼 분쟁 당시 일본행 관광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시킨 것과 유사하다. 중국 정부와 언론, 소비자들로부터 광기에 가까운 '사드 분풀이'를 겪고 있는 롯데는 중국 사업 철수까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중국 언론매체들의 무분별한 롯데 때리기는 집단 광기에 가깝다. 차이나닷컴 등 일부 매체는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의 전국 매장 리스트를 인터넷에 올려 네티즌에게 불매운동을 촉구하고 있다.
외국기업 투자를 유치하고 경영활동을 보호해야 할 주무부처인 중국 상무부는 민간의 롯데 불매운동을 지지하는 듯한 입장을 내놨다. 쑨지원 상무부 대변인은 "인터넷 공간에서의 롯데 불매운동을 주의 깊게 보고 있다"면서도 "한미의 사드 배치 결정은 중국의 안전 이익을 침해하고 중한 협력의 기초를 훼손했다"고 말했다. 상무부 대변인인지 국방부 대변인지 모를 궤변을 늘어놓은 것이다.
추적사건25시 경제팀, 국제팀, 정치팀
---------------------------
중국의 사드보복,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이 본격화되었다. 경제적 피해도 막대하지만 예견된 일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한발도 물러설 수 없는 막중한 국가안보의 결정이다. 시진핑 주석이 공개적으로 '반대'를 밝혔기 때문에 공산 1인 독재 체제의 특성상 상당 기간 보복이 우리에게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상에서 중국은 정치적 목적으로 노골적 경제 보복을 하는 거의 유일한 나라다. 센카쿠섬 분쟁 상대인 일본에 희토류(稀土類) 수출 중단으로, 반체제 인사에 노벨상을 준 노르웨이엔 연어 수입 금지로 보복했다. 대만·프랑스·필리핀·몽골 등도 비슷한 이유로 중국의 보복을 당했다.
중국의 보복 외교는 국제사회에서 이미 악명이 높다. 우리를 향한 사드 보복은 더 집요할 가능성이 있다. 시진핑이 직접 나선데다 단순히 사드 반대를 넘어서 중국공산당은 이 기회에 한국을 길들인다는 목적도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국에 손해를 끼칠 수 있는 모든 부분을 있는 대로 다 건드리겠다고 작정했을 수 있다. 중국은 롯데 뿐만 아니라 다른 우리 기업도 공격할 것이다. 대국(大國)이지만 치졸한 삼류에 불과한 국가 수준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런 이웃을 둔 것이 우리의 숙명이다.
이런 중국의 협박 앞에서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유지해야 하는 일은 원칙을 지키는 것이다. 사드 배치는 북핵·미사일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취하는 방어적 조치이며 이는 누구도 간섭할 수 없는 고유한 주권이다. 원칙을 지키면 일시적 곤란을 겪을 수 있으나 결국 옳았던 것으로 판명 나는 법이다. 중국이 이런 후안무치한 일을 벌이는 것도 한국을 '원칙 없이 흔들리는 나라'로 보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지 않으면 두고두고 화근이 된다. 사드 배치를 조속히 완료해 가동해야 한다.
중국의 보복으로 한국 경제가 입을 피해는 상당하다. 그러나 결코 견디지 못할 수준은 아니다. 일부 중국 미디어도 지적했듯이 한국 기업을 제재하면 중국에도 손해다. 중국은 한국에서 부품·소재를 들여다 가공해 재수출한다. 중국 안에 설립된 2만3000여개의 한국 기업이 만들고 있는 일자리도 있다. 중국에 오는 외국 여행자 중에도 한국인 비중이 12%로 가장 많다. 중국도 한국에 대한 의존도가 작지 않다.
중국의 보복은 정치적 이유로 무역을 제한하지 못하도록 금지한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정면으로 위배하고 있다, 중국 측은 정부가 관여하지 않았다고 하지만 뻔한 거짓임을 모두가 안다. 국제사회는 중국을 지켜보고 있으며 자신들도 언제든 중국에 당할 수 있다고 느낄 것이다. 중국의 보복은 하면 할수록 스스로에게도 부담이 된다. 중국은 사드가 아니라도 걸핏하면 경제 보복 카드로 위협할 것이다. 한국이 자신들 시장(市場)에 의존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 수출의 25%와 외국 관광객의 47%를 중국에 의존한다.
우리는 이제서야 중국이란 나라에 근본적으로 불투명한 정책과 정치 리스크가 있다는 사실을 절감한다. 그 대가를 지금 치르고 있다. 중국 의존도를 지금부터 차근차근 줄여나가야 한다. 연어 수입 제한 보복을 당했던 노르웨이는 유럽연합(EU) 등의 신시장을 개척했다. 일본 역시 중국 비중을 줄이고 동남아·인도 등으로 다변화하는 정책을 폈다. 대만도 마찬가지다. 반면 우리는 2000년 중국산 마늘 분쟁 때 그렇게 당하고도 중국 위주 전략을 수정하지 못했다. 중국 시장은 여전히 중요하지만 더 이상 좋은 시장이 아니다. 인건비가 급등한 '레드 오션'으로 바뀌었다. 이미 화장품 업계는 중국 대신 중동과 동남아 시장 쪽으로 눈길을 옮기기 시작했다.
정부, 기업, 국민 모두가 심각한 '중국 리스크'를 냉정하게 바라봐야 한다. 그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면 한국을 얕보는 중국의 횡포는 언제까지나 계속될 것이다. 그런데도 지금 한국정부와 정치권, 대선후보로 각당에서 나선 이들은 이 문제에 하나마나한 립서비스나 하거나 거의 손을 놓고 있다. 누가 과연 이 문제를 진정 깊이 고민했고 준비가 되어 있는가? 하고 보면 거의 모든 후보가 과락점수를 받을 것이다. 우리 정치권과 국민이 중국의 후안무치에 대응해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의견이 갈릴수록 중국만 웃는다. 그것이 중국이 노리는 바다. 때에따라 국제관계는 결국 아부와 친절, 우정이 통하지 않는 냉혹한 국가이익만이 존재한다. 우리나라 국민들과 정부는 자존심있는 국민, 작지만 결코 함부러 할수 없는 당당한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라는 면목을 제대로 보여주어야 할 것 같다.
추적사건25시 편집국 사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