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가자미과 어류 중 최고 명품‘범가자미’양식 가능성 열려

페이지 정보

작성자편집국 작성일 19-07-11 23:16

본문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가자미과 어류 중 최고 명품‘범가자미’양식 가능성 열려

- 지하해수 이용한 범가자미 등 냉수성 어종 양식기술 개발 연구 추진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은 광어 단일 품종에 집중돼 있는 제주도 어류 양식업 구조 변화를 위해, 지하해수를 이용한 새로운 양식품종인 범가자미의 양식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0a01ae1e48546f042580f6af965a0ff7_1562854587_997.jpg
 


범가자미는 줄가자미, 노랑가자미와 함께 최고급 가자미류 중 하나로 손꼽히는 어종으로 서해와 남해에 주로 서식하나, 자원감소로 어획량이 적어 고가에 거래되는 희귀종이다. 


범가자미 양식기술 개발연구는‘90년대 일부 시도됐으나, 어미확보와 대량 수정란 생산기술이 확립되지 않아 양식 현장으로 보급되지 못했지만, 해양수산연구원은 올해 사육중인 어미를 이용해 성 성숙 유도기법에 의한 수정란 생산에 성공하며 범가자미의 양식 가능성을 확인했다. 


0a01ae1e48546f042580f6af965a0ff7_1562854604_8206.jpg
 


범가자미 인공 수정란은 수온조절과 호르몬 투여를 통해 생산이 가능했으며, 본격적인 양식을 위해서는 부화율 상승과 초기 사육 매뉴얼 확립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연구원은 지속적인 집중 연구개발을 통해 점차 양성기술을 확립시켜 나갈 예정이다.


해양수산연구원은 범가자미와 함께 유럽산 광어의 일종인 터봇의 인공 수정란 생산 연구도 동시 추진하고 있다.


터봇은 연중 일정 수온을 유지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어 지하해수를 활용할 수 있는 제주에서만 사육이 가능해, 향후 제주도 특산 양식품종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김문관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지하해수를 활용한 새로운 품종개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

주요사건

주요사건
  • 비둘기 모이주는 행위, 과태료 100만원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비둘기 떼가 도시의 애물단지가 된 것은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비둘기 무리는 도심의 건물을 더럽히는가 하면 공원 등에 설치된 관광 또는 문화재 조성물 등에도 배…

  •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 숨진채 발견돼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일 서울 강동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제21대 국회 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던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관내 한 오피스텔에서 숨진 채…

  • 서울 명일동 도로, 20m싱크홀 매몰자 1명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24일 오후 6시30분께 서울 강동구 명일동 명일초등학교 사거리 부근에서 20m 규모의 싱크홀이 발생해 마침 지나가던 차량 한 대에 운행 중이던 운전자가 부상하고 오…

  • 통영 ‘냉동굴’, 미국 식품의약국(FDA) 서 미국 내 판…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미국 캘리포니나 보건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판매하는 통영 산 ‘냉동굴’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노로바이러스 감염 증상 등 사례를 들며 판매 중단과 회…

특별취재

Total 1,499건 121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