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2021년 울산암각화박물관 기획특별전

페이지 정보

작성자서용덕기자 작성일 21-10-27 22:38

본문

대곡천 사냥꾼 - 바다를 만나다마련

내년 3월까지 박물관에 남겨진 바위 그림사진전도

5e6cbcb9eedc29c4dec78e6174ebdd1c_1635341844_3258.png 

울산암각화박물관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발견 50주년을 기념해 반구대 암각화에 남겨진 선사시대 바다 사냥모습을 통해 대곡천에 살았던 사람들의 환경 적응 과정과 공간 인식을 알아보는 특별전 대곡천 사냥꾼 - 바다를 만나다112일부터 내년 327일까지 개최한다.

5e6cbcb9eedc29c4dec78e6174ebdd1c_1635341867_5614.png

긴 빙하기가 끝나고 한반도의 기온이 올라 후기 구석기인들의 먹거리가 사라지게 되었을 때, 바다가 된 울산에 모인 사람들의 적응을 주제로 한 이번 전시는 1인류 적응하다’, 2인류 공간을 만들다’, 3다시 변화를 시도하다.’3부로 진행된다.

5e6cbcb9eedc29c4dec78e6174ebdd1c_1635341664_6397.png

1인류 적응하다.’에서는 빙하기 이후 호수에서 바다가 되어 버린 고() 울산, 강과 바다가 만나는 땅에 모여 살아가는 사람들의 적응 과정을 그들이 남긴 도구를 통해 살펴본다. 숲이 형성된 땅에서 그들은 작은 동물을 잡기 위해 더 작고 빠른 도구를 만들게 되었고, 음식을 담기 위한 토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2인류 공간을 만들다에서는 이동생활을 하던 사람들이 바다 근처에 모여 살게 되면서 나타난 공간의 개념과 이 과정에서 생겨난 의례를 통해 당시 사회상을 살펴보려한다. ‘특별한 공간이라는 개념[의례(儀禮)]이 생겨나면서 나타난 반구대 암각화, 그리고 또 다른 특별함이 있는 울산 신암리 유적을 통해서 공간과 의례의 의미를 살펴보고, 선사시대 사람들이 어떤 방식으로 그들의 공간을 인식하였는지를 주목한다.

3다시 변화를 시도하다.’에서는 풍요로운 해양 중심 사회를 살아가던 사람들이 동해안을 따라 교류하던 모습과 북쪽에서 온 이주민을 만나게 된 과정과 이들을 배척하지 않고 삶의 일부로 받아들여 새로운 생활방식을 함께 만들어 나간 모습을 살펴본다.

또한 울산암각화박물관이 그간 전시된 자료를 통해 해외 암각화를 소개하고 암각화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사진전 박물관에 남겨진 바위 그림도 동시에 마련된다.

주요 전시물은 쇼베, 라스코, 몽베고, 백해, 사하라지역 등 총 5개의 유적의 암각화 사진과 실물모형, 탁본자료가 공개된다.

암각화박물관 관계자는 “‘전염병은 공간을 바꾸고 공간은 사회를 바꾼다는 말이 와닿는 요즘, 이번 특별전시를 통해서 인간의 인식의 변화가 어떻게 사회를 바꾸는지를 생각해 보고, 힘겨운 코로나19 일상에서 작지만 소소한 위로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주요사건

주요사건

지방자치

Total 3,899건 146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
  • 與 내란진상조사단, '내란 10대 의혹' 특검에 촉구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더불어민주당 내란진상조사단(단장 추미애 간사 박성원)은 그간 ‘내란’에 대한 각종 의혹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내란 10대 의혹'을 제기하며 조은석 내란특검에 철저한 …

  • 3특검, 본격적 수사 준비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14일 검찰 등 법조계에 따르면 12·3 비상계엄 사건의 내란 혐의를 수사할 조은석 특검,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할 민중기 특검, 순직 해병 수사방해 의혹 사…

  • 허경영, ‘사기, 정치자금법 위반, 준강제추행 등 혐의’ …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21일 의정부지법은 허경영 국가혁명당 명예대표에 대한 사기와 정치자금법 위반, 준강제추행 등 혐의 구속적부심 후 "청구 이유가 없다고 판단된다"며 기각했다.허 대표는…

  • 울산 남구 국힘 시·구의원들, 김상욱에 정치 후원금 반환 …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6·3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김상욱 국회의원(울산 남구갑)를 두고 울산 남구지역 시·구의원들이 그간 김 의원에게 시민들이 후원한 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