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사건25시

허은아 의원, 해마다 증가하는 실험실 사고 예방을 위해 정부차원의 안전기준 마련 시급

페이지 정보

작성자편집국 작성일 20-09-17 20:34

본문


허은아 의원, 해마다 증가하는 실험실 사고 예방을 위해 정부차원의 안전기준 마련 시급

- 최근 5년간 대학실험시설에서 신체상해 사고 최다 -

- 반복적 실험실 사고방지를 위해 정부 차원의 대책 필요 -

[추적사건25시 엄대진 대기자]

825abc7f56a3418a4fc6619c9814de99_1600342425_1433.jpg

국민의힘 허은아 의원은 4차산업 혁명시대의 핵심은 인재임에도 불구하고, 이공계 연구자들의 실험실 사고가 해마다 늘고있어 현장에서는 연구자들을 위한 안전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고 지적했다.

허은아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2020년 7월 대학, 연구기관, 기업부설연구소의 실험실 안전사고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3일 이상 치료가 필요한 생명 및 신체상의 손해를 입은 사고 수가 2017년 147개, 2018년 210개, 2019년 213개로 지속 증가하고 있고, 올해도 7월까지 86개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간 사고유형별 현황을 보면 기계/물리(289개), 화학(162개), 작업관리(158개), 의학생물(27개), 전기(14개), 방사선(6개) 순으로 많은 사고가 발생했다.

해마다 치명적인 실험사고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관리 전담인력과 예산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별 안전관리 전담인력 현황을 보면 비교적 상황이 나은 대학연구실의 경우 338개 기관 중 연구실안전환경 전담인력이 297명으로 88%수준이었고, 기업부설연구소의 경우 3,561개 중 278명의 전담인력으로 7.8%(1명당 12.8개 전담), 연구기관의 경우 176개 중 18명으로 10.2%(1명당 9.8개 전담)에 불과해 사실상 전담인력에 의한 안전관리가 이뤄지기 힘든 환경이었다.

상황이 이런데 2017년∼2019년 각 연구기관별 안전관리 예산은 오히려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2017년 4,390억에서 2018년 3,480억(전년대비▲910억원), 2019년 2,932억원(전년대비▲548억원)으로 3년새 총1,458억이 감소하는 등 해마다 대폭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허은아 의원은 “4차산업 혁명시대의 지속가능한 기술발전을 위해서는 결과물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연구시설과 인력의 안전 보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결과만 중시하고 과정에서의 안전 문제를 등한시 하는 현재의 행태가 계속될 경우 대한민국은 절대 미래산업의 강국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허 의원은 “국가적 자산인 연구자들이 목숨 걸고 실험하는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연구 시설별 안전관리 지침을 점검하고, 관련 인력과 예산을 증원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사건

주요사건

국회소식

Total 7,041건 348 페이지

주요사건

주요사건